재무제표 리포트 템플릿 관리하기 / 백업하기
(1) 재무제표 보고서 템플릿 관리/변경하기
☞ 계산식(Formula) 포함
✦ 당기 원가 계산식의 부호(+/-) : 타계정에서 대체(기타 입고), 타계정으로 대체(기타 출고)는 실제 서로 다른 부호이지만, 기타 출고를 기준으로 부호는 같도록 함. 즉 기타 입고 프로세스에서 금액이 -(minus)로 처리되어져 있기 때문.
✦ 그리고 타계정에 등록되어 있는 각 계정의 세부 금액은 당기 원가 계산식에 사용되기 위해서 정의된 것일뿐이기 때문에, 이에 등록된 계정들은 손익계산서의 판관비/경상비/제조비용 등 항목에 등록되어져야 함 (예외적으로 임시계정에도 등록 가능함)
✦ 한편, 실제 타계정에 등록된 계정과 금액은 상대 계정의 금액을 대신한 것이라고 보면 됨
(2) 재무제표 보고서 템플릿 백업하기
전기기간:마감기간 & 권한
기결산
☞ 기결산은 해당 화면(프로세스) 통해서 분개 처리해도, 수동 전표(JE) 입력해도 되기는 함
▶ JE 수동 입력하면, 재무제표 조회시,.. "기결산 분개 제외" option 으로 조회가 불가하여 P/L의 경우 기간을 년간으로 조회하면 항상 금액이 0(zero) 임

☞ 기결산 프로세스 중에 제조 계정 (제조원가명세서 -> 손익계산서) 넘기는 작업은 안 해도 됨
▶ 제조 계정 처리는 별도로 하지 않는게 좋음








< 추가 기결산 실행 : 여러번 가능 함 >

1. F/S 재고금액(기말) vs. 수불부
==> if different? 수불부 기준으로, BS 재고 금액 조정분개
2. MS 당기 제품 제조원가 vs. PL 당기 제품 제조원가
==> if different? 차이금액의 1/2씩 PL과 MS (or MS와 PL) 차대변 조정분개 ( 제품매출원가, 원재료비 )

*** (차.대변 금액이 같으므로) PL 당기순이익에는 영향이 없음
*** 이후에, 기결산을 하더라도 BS 당기순이익에도 영향이 없음
3. BS 당기순이익 vs. PL 당기순이익
==> if different? PL 당기순이익을 조정해야 함 ( 제품매출원가 + 원재료비 = 기초잔액 )
※ PL 당기순이익 차이 조정금액 => PL 정상계정으로 대체한 금액임 (즉, PL 당기순이익에는 임시계정 미포함)

*** 이후에, 기결산을 하더라도 BS 당기순이익에는 영향이 없음 (즉, BS 당기순이익에는 임시계정 포함)

< 재무제표 템플릿 >




기결산 이후에도 PL 계정중 매출원가, 제조원가 (기초,당기,기말) 계정 금액은 보여지고 있음
이유는 수불부 및 BS 재고계정에서 가져오기 때문임



✦ 2024년까지는 "기초잔액" 계정을 사용하고, 2025년부터는 "재고조정" 계정을 사용하기로 함
✦ "집합제조" 계정은 원가차이조정 분개에서 계속 누적/사용되어짐